LM

    [LM 평가지표] Perplexity, PPL

    유원준님의 딥러닝을 이용한 자연어 처리 입문의 펄플렉서티(Perplexity, PPL) 글을 요약한 게시글입니다 언어모델의 평가 방법(Evaluation metric of Language Model), Perplexity PPL은 문장의 길이로 정규화된 문장 확률의 역수로, 문장 W의 길이가 N이라고 했을 때, PPL은 아래와 같다 $PPL(W)=P(w_1,w_2, \cdots, w_N)^{-\frac{1}{N}} = \sqrt{\frac{1}{P(w_1,w_2, \cdots, w_N)}}^N$ 문장의 확률에 체인룰(chain rule)을 적용하면 아래와 같다 $PPL(W)=\sqrt{\frac{1}{P(w_1,w_2, \cdots, w_N)}}^N=\sqrt{\frac{1}{\Pi_{i=1}^N P(w..

    [NLP 개념] 언어모델(Language Model)

    [NLP 개념] 언어모델(Language Model)

    언어모델이란? 단어들로 이루어진 문장에 대한 확률을 계산하는 일종의 언어에 대한 확률분포함수(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PDF) 현재의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가 대세가 되기 전 가장 많이 사용된 개념으로, 처음에 Model을 구성하고 나면 그 다음부터는 굉장히 빠르게 문장의 확률을 계산, 현재 문장 다음에 올 단어를 예측 할 수 있으나 Out of vocabulary(OOV) 가 스무딩(Smoothing)과 같은 해결법에도 불구하고 큰 문제점으로 작용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NLP의 기본개념으로 언어모델을 필수로 꼽으므로 이번 게시글에서 다뤄보도록 하자 아래와 같이 영어문장이 있다고 하자 I don't like..